면역항암제 개발 바이오기업 에스티큐브(052020)는 핵심 파이프라인인 ‘STT-003’ 타겟의 항체 ‘hSTC810’에 대한 연구결과를 오는 4월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이하 AACR)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4일 밝혔다. 미국암연구학회(AACR)는 전세계 120여개국이 참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연례 암학회로 매년 암에 관한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행사다. 이번에 개최되는 ‘AACR 2021’에서 에스티큐브는 혁신 신약(First-in-class)인 ‘STT-003’의 연구 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에스티큐브가 개발 중인 ‘STT-003’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는 새로운 면역관문억제제다. ‘PD-1’, ‘PD-L1’ 등 기존에 알려져 있는 면역관문억제제 타겟과 다른 새로운 타겟으로 이번 AACR 행사를 통해 연구 결과를 세계 최초로 발표할 예정이다. ‘STT-003’ 타겟의 항체 ‘hSTC810’은 정상 조직세포에서 발현이 제한적인 반면 여러 암세포에서 발현율이 높고 T림프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도 PD-1과 유사한 정도로 발현이 된다. 다수의 동물실험을 통해 암 환자의 면역 기능을 종합적으로 억제하는 면역조절물질 ‘STT-003’을 저해하는 물질임을 밝혀냈다. 또한 에스티큐브는 ‘hSTC810’ 항체가 단일 요법으로 사용 가능하고 PD1/PDL1과의 병용 요법에서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에스티큐브 관계자는 “‘hSTC810’ 항체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치료제 ‘PD-1’과 ‘PD-L1’에 불응하는 약 70% 환자는 물론이고 암세포는 있으나 암 성장이 진행되지 않는 환자 또는 재발된 환자군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며 “이번 연구 결과 발표는 ‘STT-003’의 본격적인 글로벌 임상 1상에 앞서 글로벌 학회 차원의 검증을 받고 ‘STT-003’에 대한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에스티큐브가 AACR에서 발표할 초록은 오는 3월 10일에 공개될 예정이고 ‘AACR 2021’은 오는 4월 9일부터 14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끝>
에스티큐브는 혁신 신약(First-in-class) 'STT-003' 타겟의 항체 'hSTC810' 임상 진행을 위해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 파렉셀과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세계 3대 CRO 중 하나로 꼽히는 파렉셀은 대형 글로벌 제약사들이 개발하는 다양한 신약의 임상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 80여 개 지사 및 대규모 임상연구 협력기관을 지정해 운영 중이다.회사 관계자는 "STT-003 항체는 위탁개발생산업체(CDMO)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통해 임상을 위한 항체 생산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세계적인 면역항암치료분야 석학들로 구성된 과학자문위원회(SAB) 위원들과 모든 데이터를 공유하며 긴밀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그 외에도 면역항암치료제 임상연구 및 바이오마커 개발 전문가로 MD앤더슨암센터(MDACC)의 엉나잉 박사, 바이오통계학 전문가인 텍사스대학 브라이언 홉스 박사 등도 에스티큐브 SAB 위원이다. 또한,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암치료진단국(DCTD) 항암치료평가프로그램(CTEP) 신약 개발 분야 수석연구자인 나오코 다케베 박사가 초기 임상시험 설계와 평가 등을 자문하고 있다.에스티큐브의 SAB는 면역항암치료제 임상연구 분야에서 초기부터 많은 업적을 거둔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현재 미국 면역항암치료학회(SITC) 의장을 맡고 있는 예일암센터(Yale Cancer Center)의 마리오 슈놀 박사를 비롯해 면역항암치료 임상연구의 권위자인 로이 헙스트, 페트리샤 로루소 박사,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MSKCC)의 마가렛 켈러헌 박사 등이 참여하고 있다.회사 관계자는 "마리오 슈놀 박사를 주축으로 예일암센터 및 MD앤더슨암센터 주요 교수들이 소속돼 있다"면서 "항암면역치료 임상연구의 선구자들과 세계적 명성의 권위자들로 구성돼 임상 진행에서 탁월한 자문이 기대된다"고 말했다.이어 "'STT-003' 항체는 현재 미국 찰스리버와 영장류 실험을 진행 중으로, 약 6개월간의 약물 투여량에 따른 독성 및 약물동력학적 특징을 검증하고 있다"며 "전임상 단계에서의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이 차질없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에스티큐브는 올해 미국 및 한국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하고 연내 글로벌 임상 1상 승인을 받아 본격적인 임상시험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임상 1상은 미국 및 한국 임상전문기관에서 환자들을 대상으로 'STT-003' 투여의 안정성 및 내약성 등을 평가한다.<끝>